-
터널 라이닝 콘크리트 품질관리카테고리 없음 2020. 3. 10. 16:09728x90
1. 터널 라이닝 콘크리트 균열 예방
○ 현 황
-터널 라이닝 콘크리트 천단부 및 측벽면에 발생되는 균열의 원인을 검토하고
저감방안을 모색하여 터널의 안정성을 도모하고자 함
○ 문제점
- 철도 터널은 개통후에는 보수가 거의 불가능함.
- 균열 보수후 미관저해로 인한 전체 도장 필요
○ 균열발생원인(계속)
-라이닝 균열은 작용하중으로 인한 인장응력의 증가로 발생되는 균열보다 콘크리트건조수축에 의한
구속균열 등 2차적인 효과에 따라 주로 발생
- 여러가지 복합적인 작용으로 발생
- 콘크리트의 인장응력이 자체 인장강도를 초과할때 발생
- 부적절한 거푸집 제거 시기로 양생시간 부족
- 콘크리트의 양생기간중 온도강하에 따른 수축(내외부 20℃ 이상 차이 날때)
○ 라이닝 콘크리트 균열 형태
- 종방향 균열 : 천단부 직선 균열
- 횡방향 균열 : 천단부 중심선에서 직교하여 발생하는 균열
- 전 단 균 열 : 천단부에서 터널 어깨부로 대각선 방향 균열
- 복 합 균 열 : 종 · 횡방향 균열과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균열
[그림1] 터널 라이닝 콘크리트 균열형태 ※ 종방향 균열이 약 54%, 횡방향 균열이 27%정도의 균열형태를 차지함
○ 터널 라이닝 콘크리트 균열 예방 개선사항
- 터널 천단부에 강섬유 혼입 타설(40kg/m당)
- 라이닝 Center Form에 검사창을 좌우 각 2개 설치하여 인력 Vibrating 실시(사진#1)
- 콘크리트 슬럼프를 15cm ± 2.5로 관리
- Center Form탈형시기를 관리
· 탈형시 강도 30kgf/㎠(3Mpa이상)
(7℃ : 23시간 10분, 10℃ : 20시간 50분, 15℃ : 16시간 50분, 20℃ : 12시간 50분)
· 온도계 설치 및 양생온도 관리(첨부사진#2)
· 거푸집 해체 주기표 부착(첨부사진#2)
- 자동 살수 대차를 이용 양생중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발생 억제(첨부사진#2)
- 라이닝 두께 관리
· 두께 부족하지 않게 관리
· 급격한 단면 변화 없게 관리
· 공동구와 라이닝 Con'c의 Joint를 일치시킴
2. 터널 라이닝 천단부 강섬유 보강에 의한 균열억제
○ 현 황
- 터널라이닝 타설시 무근콘크리트로 타설 하여 천단부에 종 균열이 발생함
○ 문제점
- 터널 라이닝 콘크리트를 타설시 CROWN부위의 취성으로 인해 처짐 균열 발생
- 터널 라이닝 CROWN부위 균열보수 후 보수흔적발생으로 미관저해
- 균열보수 후 미관저해로 인한 전체 도장 필요
- 철도 터널은 개통 후에는 보수가 거의 불가능함
·라이닝 콘크리트 특성
○ 개선사항
-터널 라이닝 천단부분 콘크리트 타설시 강섬유를 보강하여 수축, 행찬 및 처짐에 의한 균열발생을 억제하고 휨 응력에 대한 내구성 증대
강섬유 혼입 ○ 효 과
- 일반콘크리트의 단점인 취성을 보강하여 연성으로 바꾸어주므로, 인성 및 내구성을 현격히 증대
- 보강면의 형상을 살릴 수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량을 감소
- 용적비의 0.5% ~ 2% 정도의 보강으로 약 20배 정도의 높은 충격 저항강도를 구현
-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균열의 발생을 뚜렷하게 감소
- 콘크리트 내부에 대한 3차원적인 보강효과
- 음극 이온화차단으로 구조재의 뛰어난 부식방지 효과
- 간편한 공사를 통해 공기 단축
3. 터널 라이닝 이음부 및 면관리 개선
○ 현 황
- Skin Plate 두께 6mm 설계
- Side Plate 두께 9mm 설계
- Screw Jack 50TON 4EA로 하부 좌우 지지
- Jack Bolt 4EA로 측벽 좌우 지지
○ 문제점
- Skin Plate 및 Side Plate 두께가 얇을 경우 concrete 하중 및 타설 속도
- 라이닝 concrete 이음부 타설 측압에 의한 단차 발생
- Concrete 타설시 Form의 하단부에 과도한 하중에 의한 구조적 불안정을 야기할 수 있음
- Concrete 타설시 측압에 의한 밀림현상으로 이음부 단차 발생
○ 개선사항
- Skin Plate T=6mm → 8mm로 조정
- Side Plate T=9mm → 12mm로 조정
- Screw Jack 50TON×4개 → 100TON ×12개 설치
- Jack Bolt 4개 → 12개 설치
○ 효 과
-Skin Plate 및 Side Plate 단면을 보강하여 concrete 하중 및 타설 압력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여 일정한 라이닝 concrete 면을 유지
-라이닝 Form 측벽부 및 하단부에 작용하는 concrete 하중 및 타설속도 압력에 의한 Form 변형에 대비한 보강으로 라이닝 concrete 연결부 단차를 최소화 함
4. 터널라이닝 및 대피소 콘크리트 타설시 소형 진동 다짐기 사용
○ 현 황
-터널라이닝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 진동기에 의한 다짐 실시
○ 문제점
-터널라이닝 콘크리트 타설시 부착된 거푸집 진동기에 의한 다짐으로 하부및 Side, 대피소 부분의 다짐이 취약하여 재료분리 등의 현상발생 우려
○ 개선사항
- 부착된 진동기부분 이외의 타설면에 소형진동기를 사용하여 다짐하며 콘크리트 품질향상
○ 효과
- 콘크리트면의 재료분리 방지로 내구성 강화
- 콘크리트 외관 향상
- 면 보수비용, 인력 저감
5. 터널 라이닝 하단 연결부 면관리 개선
○ 현 황
- 라이닝 폼 자체에 부착된 바이브레타에 의존하여 일괄적인 다짐관리
- (라이닝 좌우 각 3개 부착)
○ 문제점
-이닝 폼 바이브레타가 하단에서 3m정도 이격 설치되어 하부까지 다짐이미흡하여 재료분리 등의 결함이 발생
○ 개선사항
- 라이닝 하단부에 점검창을 설치하여 인력다짐 실시하고 완료후 소형거푸집진동기로 재다짐 실시
○ 효과
- 라이닝 하단 연결부 재료분리등 결함방지
- 라이닝 면관리 양호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