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콘크리트 진동봉 관리(다짐봉)
    카테고리 없음 2020. 3. 13. 07:49
    728x90

    콘크리트 진동봉 관리

    목      차

                                                                  1. 진동봉 다짐 원리

                                                                  2. 진동봉 다짐시 주의사항

                                                                  3. 진동봉 다짐 불량사례

                                                                  4. 진동봉 적용기준 및 성능

                                                                  5. 진동봉 식별때 부착

                                                                

     

    1. 진동봉 다짐이란?

    ☞물체에 진동을 가하게 되면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 가속도가 증가되어 물체 자체의

    질량이 증가하는 효과가 발생함(진동을 가하는 동안 일시적)

     

    따라서 굳지 않은 콘크리트 paste내의 고잴가 질랴의 일시적 증가로 아래쪽으로 이동함

    또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 내의 공기 기포등은 위로 올라옴

     

    ☞즉, 콘크리트가 기포나 공극 없이 밀도있게 잘 다져지게 됨

     

    2. 진동봉 다짐시 주의사항

    진동봉은 진동봉 헤드의 자중에 의해 연직으로 삽입

    콘크리트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목적으로 사용금지(수평 유동거리1.5미터 이하)

    진동봉은 선행층 내부에 최소한6"(15cm)삽입

    진동봉의 관입시간은 두층이 일체가 되도록5~15초정도

    (규정시간 초과시 기포발생 우려)

    삽입 간격은 규정된 간격(30cm)이내로 함

    진동봉은 콘크리트로부터 천천히 빼내어 구멍이 남지 않도록 함

     

    3. 진동봉 다짐불량 사례

     

    4. 진동봉 적용기준 및 성능

    진동봉 형식 : internal(내부진동형)

    ☞ 진동봉 필요 수량

        - 좁은 지역(구조물 벽체등) : 최소2대

        - 넓은 지역(구조물 기초등) : 최소3대

    ※진동봉 3대당 1대의 비율로 예비 진동봉 비치

    ☞ 진동봉 성능 - KEPIC 2000판SN인용 기술기준(ACI 309R 87ad)

    분류

    진동봉 직경

    inch(cm)

    추천 분당 진동수

    (Hz)

    영향반경

    inch(cm)

    용도 비 고
    1

    ³/~1-1/2

    (2~4)

    9000~15000

    (150~250)

    3~6

    (8~15)

    얇은부재, 또는 묽은, 유동성 콘크리트 타설시  
    2

    1-1/4~2-1/2

    (3~6)

    8500~12500

    (140~210)

    5~10

    (13~25)

    얇은벽체,기둥,보,pc파일,얇은슬라브

     
    3

    2~3-1/2

    (5~9)

    8000~12000

    (130~200)

    7~14

    (18~36)

    된 콘크리트(슬럼프80mm이하)의 벽체 기둥,보,두터운 슬라브등의 일반구조물 작업시  
    4

    3~6

    (8~15)

    7000~10500

    (130~200)

    12~20

    (30~51)

    형틀의 크기가크고 대형교각 및 기초등에서 1회 하차량이4cy에 이르는 슬럼프 50mm정도의 매스콘크리트,댐  
    5

    5~7

    (13~18)

    5500~8500

    (90~140)

    16~24

    (40~61)

    대형댐이나 교각, 중량량벽등  

    5. 진동봉 식별띠 부착

    작업자 및 관리감독자가 다짐간격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야광 테이프를 부착

    ※ 영향 반경에 따른 야광 테이프 부착 기준

          - 영향반경(18~36cm) : 빨간색(30cm)

          - 영향반경(13~25cm) : 노락색(20cm)

          - 영향반경  (8~15cm) : 초록색(10cm)

     

    728x90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