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중콘크리트·숏크리트 관리계획서카테고리 없음 2020. 3. 29. 20:35728x90
목 차
1. 일반사항
2. 재료관리
가)조/세골재
나)시멘트
다)물
라)혼화제
마)아지데이타
3.시공관리
가)비비기
나)운반
다)타설준비
라)타설
마)양생
4. 서중 콘크리트.숏크리트 타설계획서
5. 구조물 부위별 양생계획도
1. 일반사항
시공에 있어서는 기온이 높으면 그에 따라 콘크리트의 온도가 높아져서 운반중의 슬럼프 저하, 공기량의 감소, 콜드죠인트가 발생되므로, 재료의 취급, 운반, 치기 및 양생 등에 대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 콘크리트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관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재료관리
-각 재료별 온도관리 설정표
콘크리트 종류
관리온도(℃)
비고
시멘트
물
조골재
세골재
혼화제
생산콘크리트(T)
25-27-150
40
18
30
30
30
27.9
25-18-150
40
18
30
30
30
27.5
강섬유 숏크리트
40
18
30
30
30
27.5
※ 콘크리트 혼합물 온도 산출근거
구 분
25-27-150
25-18-150
25-18-120
강섬유 숏크리트
단위수량(㎏)
165
172
165
209
단위시멘트량(㎏)
378
292
280
473
잔골재량(㎏)
764
932
946
970
굵은골재량(㎏)
1007
909
923
655
재료별 온도에따른 콘크리트온도 T(℃)
27.9
27.5
27.6
27.5
※ 산출근거 T= Cs(TaWa + TcWc) + TmWm
Cs(Wa + Wc) + Wm
Ta 및 Wa : 골재의 온도(℃) 및 중량(㎏)
Tc 및 Wc : 시멘트의 온도(℃) 및 중량(㎏)
Tm 및 Wm : 물의 온도(℃) 및 중량(㎏)
Cs: 시멘트및골재의비열,0.2로가정.
가) 조/세골재
-조골재
(1) 조골재 관리는 골재온도가 콘크리트의 온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골재온도 ±1℃에 대하여
콘크리트 온도 ±1℃의 변화) 장시간 열염에 노출된 골재를 사용하여서는 안된다.
(2) 골재 사용시 야적장에 있는 골재를 바로 사용 하여서는 안된다.
(3) 골재적치장은 차광시설 및 스프링쿨러를 설치하여 살수 후 사용한다.
(4) 살수된 상태에서 표면수를 측정하여 현장배합으로 수정하여 생산 관리한다.
(5) 페이로더로 골재 운반시 바닥을 긁어 싣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세골재
(1) 세골재 관리는 살수하면 표면수 관리가 난이하므로 반입된 상태에서 햇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광망으로 덮어서 관리 하여야 한다.
(2) 세골재는 저장빈에 있는 것을 사용 하며, 적치장에 있는 세골재는 사용을 지양한다.
(3) 세골재의 온도를 확인 할 수 있도록 온도계를 비치하여야 한다.
나) 시멘트
(1) 시멘트 사일로에 단열시설을 설치하여 시멘트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 하여야 한다.
(2) 1일 타설에 충분한 시멘트량을 사전에 확보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3) 시멘트 사일로에 온도계를 설치하여 시멘트 온도관리를 하여야 한다.
다) 물
(1) 물은 온도가 일정한 지하수를 가급적 사용 하고 물탱크나 수송관등은 단열처리를 하여야 한다.
(2) 물탱크 사용 할 시에는 물의 양을 최소한의 양만 저장하여 사용하고 저온의 물을 사용 하도록
관리 하여야 한다.
(3) 물의 온도 관리를 위하여 냉각설비(칠러)나 얼음등으로 물의 온도 상승을 방지 하여야 한다
라) 혼화제
(1) 혼화제 저장소는 치광이 용이하도록 별도로 설치 하여야 한다.
(2) 혼화제 탱크는 단열처리 시설을 설치 하여야 한다.
마) 아지데이터
(1) 아지데이터는 단열처리 설치 시설을 하여야 한다.
(2) 아지데이터는 출하전 살수를 실시하여 온도 상승을 방지 하여야 한다.
3. 시공관리
가) 비비기
(1) 비빈직후 콘크리트 온도는 기상조건, 운반시간 등의 영향을 고려하여 타설시 소요의 온도가 얻어지도록 관리 하여야 한다.
(2) 비비기시 콘크리트 온도는 콘크리트 혼합물의 추정온도 계산식에 의하여 구하고 계산식에서 구한 콘크리트 온도가 31℃ 이하가 되도록 관리 하여야 한다.
(3) 타설전 콘크리트 온도를 확인하고 생산온도 관리 대장에 기록 관리한여야 한다.
나) 운반
(1) 아지데이터는 지속적으로 살수를 실시하여 습윤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2) 생산에서 타설완료시까지 90분이내가 되도록 운반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3) 아지데이터는 현장에 장시간 대기시키는 일이 없도록 사전에 Cycie Time을 계산하여 운영 하여야 한다.
다) 타설준비
(1) 콘크리트 타설전 지반 및 거푸집등에 살수를 하여 습윤상태를 유지 한다.
(2) 콘크리트 타설전 인원 및 장비를 점검하여 타설에 지장이 없도록 현장관리 하여야 한다.
(3) 펌프카 사용시 콘크리트 잔재로 인한 고장을 유발시키는 수송관 내 청소 상태 확인.
라) 타설
(1) 콘크리트 타설시 연속적인 타설이 될 수 있도록 관리 하여야 한다.
(2) 콜드죠인트가 발생되지 않도록 적절한 계획에 따라 타설 하여야 한다.
(3) 콘크리트 타설시 온도는 35℃이하이나 타설시 거푸집 및 철근등이 과열되어 있으므로 타설시 온도는30℃이하로 관리 하여야 한다.
(4) 한층타설시 수평으로 고루 타설하여 다짐불량으로 인한 침하균열 발생 금지.
(5) 콘크리트 치기는 될 수 있는 대로 빨리 실시해야 하며, 비벼서 치기를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은 90분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마) 양생
양생은 콘크리트 타설 완료시에는 신속하게 양생을 시작하여 콘크리트 표면을 건조로부터 보호한다.
또, 특히 기온이 높고 습도가 낮은 경우에는 타설직후의 급격한 건조로 인해 균열이 발생하는 수가 있으므로 직사광선, 바람 등을 방지하기 위해 차광막 설치, 비닐도포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
콘크리트 수화열은 타설 후 15~28시간 사이에 열발생이 가장 높으므로 콘크리트 온도 강화를 위해 완전한 습윤양생을 시켜주어야 하며, 타설 후 20~42시간까지는 수화온도가 내려간다. 이시간에 열발산으로 인한 콘크리트에 수축이 일어나므로 균열발생 가능성이 가장 높다. 그러므로 지속적인 습윤양생과 병행하여 야간 및 대기온도 강하시에는 콘크리트의 온도와 심한차이가 생기지 않도록 양생포등으로 보호하는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1) 타설 전 양생제, 비닐, 양생포, 및 물차 등의 양생시설을 완비한다.
(2) 초기 건조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 즉시 습윤양생을 실시해야하 하며, 습윤양생이 곤란한 경우에는 피막양생을 실시한다.
(3) 목재거푸집의 경우 거푸집판에 연해서 건조가 발생하므로 필히 습윤상태로 유지한다.주의 측벽 거푸집 살수로 수화열 감소시킨다
(4) 콘크리트는 경화중에 진동, 충격 및 하중이 가해지지 않도록 보호한다.
(5) 외벽 거푸집은 가능한 조속히 탈형(fck=5MPa시점)하고 콘크리트 표면의 습윤양생을 실시한다. 예) 봄, 가을 : 타설후 2일경과, 여름 : 타설 후 1일경과
(6) 거푸집을 떼어낸 후에도 양생기간 동안은 노출면을 습윤상태로 유지하고, 습윤양생은 최소 7일 이상 실시한다.
4. 서중콘크리트 타설계획
■ 타설기간 : 2019. 06.25 ~ 2019. 09.30
구조물명
타설
부위
물량
(㎥)
타 설 일 자
비고
6월
7월
8월
9월
28
30
5
10
15
20
25
31
5
10
15
20
25
31
5
10
15
20
25
30
정거장
정화조
210㎥
벽체및 슬래브
210㎥
25-27-150
1SPAN
667㎥
벽체및 슬래브
470㎥
2층1단벽체
197㎥
25-27-150
4SPAN
450㎥
벽체및 슬래브
450㎥
25-27-150
5SPAN
607㎥
벽체및 슬래브
607㎥
25-27-150
1터널
버림
936
버림
156
㎥
버림
156
㎥
버림
156
㎥
버림
156
㎥
버림
156
㎥
버림
156
㎥
25-18-150
바닥기초
3040
기초
304㎥
기초
304
㎥
기초
304
㎥
기초
304
㎥
기초
304
㎥
기초
304
㎥
기초
304
㎥
기초
304
㎥
기초
304
㎥
기초
304
㎥
25-27-150
보도헌치
551
헌치
29
㎥
헌치
58
㎥
헌치
58
㎥
헌치
58
㎥
헌치
58
㎥
헌치
58
㎥
헌치
58
㎥
헌치
58
㎥
헌치
58
㎥
헌치
58
㎥
25-27-150
서중숏크리트 타설계획
■ 타설기간 : 2019. 06.25 ~ 2019. 09.30
구조물명
타설부위
물량
(㎥)
타 설 일 자
비 고
6월
7월
8월
9월
25
30
5
10
15
20
25
31
5
10
15
20
25
31
5
10
15
20
25
30
터 널
종점부
800
10-4.5-120
5. 구조물 부위별 양생계획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