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콘크리트 배합설계
    카테고리 없음 2020. 3. 6. 07:39
    728x90

    목 차

    Ⅰ. 용어의 정의

    Ⅱ. 배합설계

    Ⅲ. 현장배합 수정

     

    Ⅰ. 배합설계 용어 정의

    1. 용어의 정의

    1) 배합설계

    - 콘크리트 각 재료의 비율을 정하는 것

     

    2) -시멘트 비 (W/C)

    - 물과 시멘트의 무게 비

    - 콘크리트 강도에 가장 큰 영향을 줌

     

    3) 설계기준강도(fck)

    - 설계에서 기준으로 한 소요의 압축강도

    - 재령 28일 강도가 기준

     

    4) 배합강도(fcr)

    - 콘크리트 배합시 목표로 하는 강도 (재령 28일 강도가 기준)

    - 일반적으로 설계기준강도 보다 크게 잡음

    - 배합강도는 전체 배합되는 콘크리트의 평균강도의 개념의 아니므로,

      어느 한 부분이라도 설계기준강도 보다 작아서는 안됨

     

    5) 단위량 (f/㎥)

    - 콘크리트 1를 만드는데 필요한 각 재료양 (f)

     

    6) 잔골재율 (S/a)

    - 전체 골재량에 대한 잔 골재량의 절대 부피비 (%)

     

    7) 시방배합

    - 시방서 또는 책임 발주기에서 지시한 배합

    시방서 : 도면으로 나타낼 수 없는 사항을 문서로 적어서 규정한 것

     

    8) 현장배합

    - 시방배합을 현장의 골재상태에 맞도록 고친 것

     

    2. 용어의 정의(재료)

    1) 시멘트 : 교착재(결합재)의 총칭으로 여러 재료를 교착시키는 역할

        -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1)

        -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2)

        -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3)

        - 저열 포틀랜드 시멘트(4)

        - 내황산염 포틀랜드 시멘트(5)

     

    2) 골재 : 몰탈 또는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하여 시멘트 및 물 등과

    일체로 굳어지는 불활성 재료

    - 잔골재 : 규격 5표준 체를 중량 비로 85%이상 통과하는 골재

    - 굵은골재 : 규격 5표준 체를 중량 비로 85%이상 남는 골재

    3) 혼화재료 : 모르터나 콘크리트 제조시 혼합하여 소요의 성질을 부여하거나 개선,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

    - 혼화재 : 시멘트 중량에 대하여 5%이상 첨가하는 재료(플라이애쉬, 고로슬래그 )

    - 혼화제 : 시멘트 중량에 1% 전후 첨가 하는것 (고성능AE감수제, AE, 촉진제 등)

     

    Ⅱ. 배합설계 

    1. 배합설계 목적

    - 강도, 내구성, 수밀성, 균열저항성, 철근 또는 강재를 보호하는 성능과 시공성에

    필요한 워커빌리티(workability) 를 가진 경제적인 콘크리트의 배합을 결정

     

    2. 배합설계 사전준비

    - 사용재료 품질실험 : 골재의 비중, 골재의 입도분석, 흡수량 ,단위용적중량, 마모율 등

     

    4. 시험 배합설계

    1) 배합강도 결정

    - 배합강도(fcr)≥설계기준강도(fck)

    - 35fck인 경우

    fcr = fck + 1.34s (㎫)

    ② fcr = (fck-3.5)+2.33s (㎫)

     

    - 35 fck인 경우

    ① fcr = fck + 1.34s (㎫)

    ② fcr = 0.9fck + 2.33s (㎫)

     

    여기서 : fcr : 배합강도()

    fck : 설계기준강도()

    S : 압축강도의 표준편차()

    → 30회 이상의 시험 실적으로 결정(보정 계수표)

     

    2) W/B 비 결정

    - 소요의 강도, 내구성, 수밀성, 균열저항성 고려

     

    (1) 압축강도를 기준으로 정하는 경우

    a) 시험에 의하여 정하는 경우(원칙)

    - B/W 비와 f28(재령28일 강도) 의 관계로 결정

    b) 배합에 사용할 W/B비는 기준 재령의 B/W비와

    압축강도와의 관계식에서 배합강도에 해당하는

    B/W비 값의 역수로 한다.

     

    (2) 내구성을 기준으로 W/B 결정

    - 콘크리트의 내동해성 기준으로 하여 물 시멘트 비를 정하는

    경우의 AE 콘크리트의 최대 물-시멘트 비(%)

    기 상 조 건

    기상작용이 심하고 동결융해 자주 반복될 때

    기상작용이 심하지 않고 온도가 동결점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가 드물

    단 면

    얇은 경우

    보통의 경우

    얇은 경우

    보통의 경우

    구조물의

    노출상태

    (1)연속해서 또는 반복해서

    물에 포화되는 경우

    45

    50

    50

    55

    (2)일반적인 노출상태로

    (1)에 속하지 않는 경우

    50

    55

    55

    60

    - 특수노출상태에 대한 요구사항

    - 황산염을 포함한 용액에 노출된 콘크리트에 대한 요구사항

     

    (3) 제빙 화학제가 사용되는 경우 : 45% 이하

    (4) 수밀성을 기준으로 정하는 경우 : 50% 이하

    (5) 탄산화 저항성을 고려하여 정할 경우 : 55% 이하

    (6) 해양콘크리트 : 해양콘크리트 표준시방에 따른다.

     

    3) 단위수량의 선정

    (1) 작업가능 범위 내에서 될수 있는 대로 작게 시험에 의해 정함

    (2) 콘크리트의 단위 굵은골재용적, 잔골재율 및 단위수량의 대략 값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단위굵은 골재 용적(%)

         공기연행제를 사용하지 않은

                    콘크리트

                                   공기연행 콘크리트

    갇힌공기(%)

    잔골재율(S/a) (%)

    단위수량

        W

    (Kgf/)

      공기량     (%)

    양질의 공기연행제를 사용한 경우

    양질의 공기연행 감수제를 사용한 경우

    잔골재율

    S/a (%)

    단위수량

    W(Kgf/)

    잔골재율

    S/a (%)

    단위수량

    W(Kgf/)

    15

    58

    2.5

    53

    202

    7.0

    47

    180

    48

    170

    20

    62

    2.0

    49

    197

    6.0

    44

    175

    45

    165

    25

    67

    1.5

    45

    187

    5.0

    42

    170

    43

    160

    40

    72

    1.2

    40

    177

    4.5

    39

    165

    40

    155

    ) : 잔골재 조립률 : 2.80, -시멘트비 55%, Slump : 80mm인경우의 표준값

     

    (3) 배합수 및 잔골재율 보정 방법

    구분

    S/a의 보정(%)

    W의 보정(kg)

    모래의 조립률이 0.1 만큼 클(작을)때마다

    0.5 만큼 크게(작게) 한다.

    보정하지 않는다.

    슬럼프 값이 10만큼 클(작을)때마다

    보정하지 않는다.

    1.2% 만큼 크게(작게)한다.

    공기량이 1% 만큼 클(작을)때마다

    0.5~1.0 만큼 작게(크게)한다.

    3%만큼 작게(크게)한다.

    -결합재 비가 0.05 (작을)때마다

    1 만큼 크게(작게)한다.

    보정하지 않는다.

    S/a 1% (작을)때마다

    보정하지 않는다.

    1.5kg 만큼 크게(작게)한다.

    자갈을 사용할 경우

    3~5만큼 크게 한다.

    9~15kg 만큼 작게 한다.

    부순모래를 사용할 경우

    2~3만큼 크게 한다.

    6~9kg 만큼 크게 한다.

    ) 단위굵은 골재용적에 의하는 경우에는 잔골재의 조립률이 0.1만큼 커질(작아질)

    때마다 단위 굵은 골재 용적률을 1%만큼 작게(크게)한다.

     

    4) 단위 시멘트량

    - 단위 시멘트량(Kgf/ ㎥)=단위수량과 물결합재비

     

    5)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

    구조물의 종류

    굵은골재 최대치수()

    일반적인 경우

    20 또는 25

    단면이 큰 경우

    40

    무근 콘크리트

    40

    부재 최소 치수의 1/4을 초과해서는 안됨

    6) 슬럼프

    - 운반, 타설, 다지기 등의 작업에 알맞은 범위 내에서 될 수 있는 한 작은 값

     

                                                  슬럼프의 표준값 ()

    종 류

    슬럼프 값

    철근 콘크리트

    일반적인 경우

    80 ~ 150

    단면이 큰 경우

    60 ~ 120

    무근 콘크리트

    일반적인 경우

    50 ~ 150

    단면이 큰 경우

    50 ~ 100

    7) 골재율(S/a)

    - 소요의 워커빌리티를 얻을 수 있는 범위내에서 단위수량이 최소가 되도록 시험에 의해서 결정

    - 잔골재의 조립률이 ±0.2이상 일때 배합 수정

     

    8) 공기량의 선정

    - 굵은 골재 치수와 내동해성을 고려하여 다음 표와 같이 정한다.

     

                                           공기연행 콘크리트 공기량의 표준값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

    공 기 량 (%)

    심한노출

    보통노출

    10

    15

    20

    25

    40

    7.5

    7.0

    6.0

    6.0

    5.5

    6.0

    5.5

    5.0

    4.5

    4.5

     

    9) 단위 혼화 재료의 단위량 선정

    - 소요의 슬럼프 및 공기량을 얻을 수 있도록 시험에 의해 결정

     

     

    제빙화학제에 노출된 콘크리트 최대 혼화재 비율

    혼화재의 종류

    시멘트와 화화재 전체에 대한

    혼화재의 질량 백분율(%)

    플라이 애쉬 또는 기타 포조란

    25

    고로슬래그 미분말

    50

    실리카 퓸

    10

    프라이애쉬, 고로슬래그미분말 및

    실리카 퓸의 합

    50

    플라이애쉬또는 기타포졸란과 실리카 퓸의

    35

     

    10) 배합의 표시 방법

    굵은골재의 최대 치수

    ()

    슬럼프

    범위

    ()

    공기량 범위

    (%)

    -결합

    재비

    W/B

    (%)

    잔골재율

    S/a

    (%)

    단위질량(㎜㎏/)

    시멘트

    잔골재

    굵은골재

    혼화재료

    혼화재

    혼화제

                         

     

    10) 단위 재료량의 선정

     

    단위용적 1(1000liter) 에서 공기, 시멘트, 물의 절대용적을 뺀 나머지가 골재의 절대용적

    - a=1-[(W/1000+C/(Gw*1000)+단위혼화재량/(혼화재비중*1000)+A/100)]

    - Vs (㎥ )= Vs+g * S/a(잔골재율)

     

    - S(Kgf/ ㎥) = Vs * Gs * 1000

     

    - Vg (㎥ )= Vs+g - Vs

     

    - G(Kgf/ ㎥) = Vg * Gg * 1000

     

    여기서 a : 단위골재량의 절대용적, Vs : 잔골재 용적, Vg : 굵은골재 용적

    W : 단위수량(kg/), C : 단위시멘트량(kg/), A : 공기량(%)

    GW :시멘트 밀도, GS :잔골재 밀도, Gg :굵은골재 밀도

     

    11) 시방배합의 결정

    (1) 계산에서 산출된 W/B, S/a, 단위수량, 골재량을 토대로 배합시험 실시

    (2) 반복 배합을 통하여 최적의 물성치를 찾음(슬럼프, 워커빌리티)

    (3) W/B-f28 관계식을 구하기 위한 공시체 제작 및 압축강도 측정

    (최적 W/B ± 5%, S/a ± 1%) 3종류

    (4) -결합재비의 결정 및 최종 시방배합의 결정

     

    Ⅲ. 현장배합 수정

    1. 시방배합의 골재상태

    - : 5mm체를 기준으로 잔골재와 굵은골재로 구분

    - 함수상태 : 표면건조 포화상태

    ⇒ 현장의 골재는 보관상태나 환경적인 요인으로 표준적인 골재의 상태가 아님

    2. 현장배합으로 고치기

    ① 입도에 대한 보정

    ② 표면수에 대한 보정

     

    1) 입도에 대한 보정

    - 잔 골 재 (X) = 5mm체 통과 시료(S) + 5mm체 잔류시료(G)

    - 굵은골재(Y) = 5mm체 통과 시료(S) + 5mm체 잔류시료(G)

     

    2) 표면수에 대한 보정

    - 시방배합 : 골재의 함수상태 ⇒ 표면건조포화 상태

    - : 골재의 함수상태 ⇒ 표면건조포화 상태 아님

    시방 배합의 물의 양 보정 필요

     

    ⇒ 현장 잔골재(X)의 표면수량 = X*(c/100)

    ⇒ 현장 굵은골재(Y)의 표면수량 = Y*(d/100)

    ∴ 보정된 단위수량

    =시방배합단위수량 - (X의 표면수량 + Y의 표면수량)

    728x90

    댓글

Designed by Tistory.